안녕하세요!
라켓토리 토리짱입니다.
오늘은 배드민턴 경기규칙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!
🎯 1. 복식 서브 규칙
✅ 기본 서브 조건
- 셔틀을 허리 아래에서 쳐야 함
- 라켓 헤드가 손보다 아래 있어야 함
- 정지 상태에서 서브 (움직이며 치면 반칙)
- 대각선 반대편 수신자에게 정확히 서브
- 받는 사람 외에 파트너가 받으면 반칙
✅ 서브 위치
- 짝수 점수 → 오른쪽에서 서브
- 홀수 점수 → 왼쪽에서 서브
📝 서브 넣는 사람만 득점할 때마다 자리를 바꾸고, 받는 쪽은 자리를 바꾸지 않아요.
🔁 서브 순서 예시 (복식)
- 게임 시작 – 0:0 (짝수 점수)
→ A팀 오른쪽 플레이어가 서브, 상대 왼쪽 플레이어가 리시브 - A팀 득점 시 → 같은 사람이 반대 자리에서 계속 서브
- A팀 실점 시 → 서브권이 B팀으로 넘어가고, B팀의 오른쪽 플레이어가 서브 시작
- 이후도 같은 방식으로 이어감
✔️ 각 팀당 한 번의 서브 기회만 있음 (과거에는 2번이었지만 룰 변경됨)
🏸 2. 인/아웃 판정 기준
복식에서는 서비스 라인과 코트 라인 규칙이 단식과 약간 다르다!
▶ 복식 서브 시 인 구역
✅ 짧고 넓다
→ 앞 서비스 라인 ~ 뒷 서비스 라인, 사이드라인 포함
- 서브는 길게 치면 아웃!
- 사이드 라인 끝까지 OK
📌 주의: 복식은 서브 인 구역이 단식보다 짧다!
▶ 랠리 중 인 구역
✅ 전체 복식 코트 라인
→ 좌우 사이드라인 끝까지, 뒤쪽도 베이스라인까지 인
❌ 3. 복식 실점하는 경우
실점 상황설명
서브 실수 | 허리 위에서 치거나 라인 벗어나면 바로 실점 |
셔틀이 라인 밖으로 나감 | 라켓으로 친 셔틀이 코트 바깥으로 나감 |
리시브 순서 오류 | 서브 받은 사람이 아닌 파트너가 받으면 반칙 |
네트 터치 | 몸이나 라켓이 네트를 건드리면 실점 |
2회 터치 | 같은 팀이 셔틀을 두 번 이상 연속 터치 |
📝 복식에서는 위치·순서 착오로 인한 실점이 자주 발생하니 유의하자!
✅ 요약: 복식 경기 핵심 체크
- 서브는 대각선으로, 점수 짝수면 오른쪽
- 복식 서브 인 구역은 짧고 넓음
- 랠리는 사이드 포함 전체 코트 인
- 순서 착오, 네트 터치, 라인 아웃 등은 실점
복식은 호흡과 정확한 포지션 이해가 정말 중요해요.
서브와 리시브 순서만 잘 익혀도 실점 절반은 막을 수 있어요!
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꾹!
구독해두시면 다음 꿀팁도 바로 만나보실 수 있어요 😊
그럼, 다음 글에서 또 만나요! 🦦🏸
반응형